반응형
✅ 신청 및 가입 절차
>>> 가입대상자로 안내받은 1인 가구는 7월 17일부터, 2인 이상 가구는 28일부터 8월 8일까지 계좌를 개설할 수 있음.
- 서민금융진흥원 심사
- 서민금융진흥원 공식 페이지(‘청년도약계좌’)에서 가입 대상 여부 확인
- 가입 신청 시 행정정보 이용으로 소득·가구요건 확인하며, 심사 통과 약 2주 소요
- 취급 은행 선택
- 국민·신한·하나·우리·농협·기업·부산·iM뱅크·광주·전북·경남은행 등 취급은행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.
- 가입 심사 → 계좌 개설
- 은행 신청 후 약 2주간 서민금융진흥원 심사
- 심사 통과 시 익월 초 계좌 개설 가능
📝 신청 시 체크포인트
- 연령 요건: 만 19~34세 (군복무 기간 최대 6년까지 인정)
- 소득 요건:
- 개인소득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,300만 원 이하
-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180~250% 이하 (은행별 상이)
- 납입 금액: 월 1천 원 ~ 70만 원 (소득 구간에 따라 정부기여금 월 40~70만 원까지 매칭)
- 비과세 + 정부기여금: 이자소득세 면제, 정부 기여금 3~6% 수준 지원
예시: KB국민은행 가입
- 앱(App): ‘KB 스타뱅킹’ → 적금 메뉴 내 ‘청년도약계좌’ 검색
- 가입 가능 일정:
- 신청: 매월 1~2주간
- 계좌 개설: 다음 달 중순에 시행
- 금리(2025.6.30 기준): 세전 최대 4.5~6.0%, 비과세 효과
📌 요약
1 | 서민금융진흥원 사이트에서 소득·가구요건 확인 신청 |
2 | 심사 통과 후 은행 앱에서 ‘청년도약계좌’ 검색 및 가입 |
3 | 은행-서민금융진흥원 간 협의를 거쳐 계좌 개설 (익월 초) |
4 | 5년 적립하며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누리기 |
💡 팁
- 가입 은행은 주거래 은행이나 우대금리 조건을 비교해 선택하세요.
- 월 납입금액은 개인 소득구간에 따라 추천되며, 최대 매칭 한도(월 40~70만 원)를 활용하면 효과적입니다.
- 은행별 우대금리 조건(급여이체, 카드, 마케팅 동의 등)을 챙기면 기본 금리 외 더 큰 혜택을 얻을 수 있습니다.
반응형